[Cook&Chef = 김세온 기자] 국내 레스토랑 테크 기업 먼슬리키친이 자체 개발한 POS(Point of Sale)·테이블오더 통합 시스템을 미국 뉴욕의 중대형 레스토랑 ‘골든 피그(Golden Pig)’에 성공적으로 구축하며, 한국형 외식 운영 기술의 글로벌 경쟁력을 입증했다.
한국 기술 기반의 통합 시스템이 미국 현지 결제망·배달 플랫폼과 연동돼 상용화 된 사례로, 외식업 운영 효율화와 자동화 트렌드가 글로벌 표준으로 자리잡고 있음을 보여준다.
운영 효율성 입증… ‘주문부터 매출 관리까지’ 한번에
‘골든 피그’는 월매출 약 30만 달러(연간 약 50억 원)에 달하는 대형 레스토랑으로, 다품목 메뉴와 높은 테이블 회전율을 보유한 복합 외식업장이다.
이 매장에는 먼슬리키틴의 Pion POS 3대와 Orderpay 테이블오더 30대가 통합 설치됐다.
이 시스템은 고객 주문부터 주방 KDS(주방 실시간 연동 시스템), 현장 결제, 대시보드 매출 관리까지 모든 과정을 하나의 체계로 통합한다.
먼슬리키친은 “시스템 도입 이후 테이블 회전율 증가, 주문 오류 감소, 고객 대기시간 단축, 결제 속도 향상 등 실질적인 운영 개선 효과가 확인됐다”고 전했다.
기존 미국 외식업에서 POS와 테이블오더가 분리 운영돼 왔지만, 단일 관리체계로 운영하면서 비효율을 줄이고 인력 의존도를 낮추는 구조로 주목받고 있다.
먼슬리키친의 Pion POS는 미국의 3대 주요 결제망(Fiserv, Elavon, Tsys)과 연동되며, DoorDash·UberEats·Grubhub 등 4대 배달 플랫폼과의 실시간 주문 동기화 기능도 갖췄다.
이로써 매장에서는 온라인 주문·현장 주문을 한 화면에서 통합 관리할 수 있고, 주문 채널별 매출 분석 및 자동 정산 기능까지 제공받을 수 있다. 배달·홀 병행 매장, 브런치 카페, 패밀리레스토랑 등 다매장 운영 업주에게 특히 효율적인 구조라 할 수 있다.
먼슬리키친의 Orderpay 테이블오더는 무선 기반으로 별도 전원 공사 없이 설치가 가능하며, POS와 실시간 연동돼 주문 누락이 없고, 대기 시간을 줄여준다.
결제·배달 플랫폼까지 완전 연동… 외식 자동화 수요 급증
먼슬리키친의 사례는 주문 및 결제 자동화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특히 급증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미국레스토랑협회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외식업 인건비 비중은 평균 매출의 33~35% 수준까지 상승했다. 이로 인해 주문·결제 자동화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포춘비즈니스인사이트에 따르면, 세계 키오스크 시장 규모는 2020년 202억 9,000만 달러에서 2021년 226억 9,000만 달러, 2028년 510억 9,000만달러로 2021~2028년 연평균 12.3%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 같은 흐름은 인건비 상승, 배달 플랫폼 수수료 부담 등이 공통된 고민인 한국 외식업계에도 중요한 시사점을 준다.
지난 5월 17일부터 나흘간 열린 북미 외식산업 행사인 ‘NRA Show 2025(시카고 레스토랑 박람회)’에서도 먼슬리키틴의 먼키 테이블오더 솔루션은 현지 업계의 관심을 끌었다.
먼슬리키친 김혁균 대표는 “이번 미국 사례는 단순한 납품이 아니라, 현지 인프라와의 통합 실증을 완료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Cook&Chef / 김세온 기자 cnc02@hnf.or.kr
[저작권자ⓒ 쿡앤셰프(Cook&Chef).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