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photo-pixabay |
음식/요리/음식여행 분야의 전세계 최고 기구로 인정받고 있는 이 비영리 법인이 150여 개 국가에서 약 20만 명의 해당 분야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시작한 음식 여행 업계 최초이자 유일한 B2B 장터인 월드푸드트래블마켓은 음식 여행 상품의 구매자들과 판매자들을 연결시키는 보안성 높은 플랫폼이다.
![]() |
▲ photo-pixabay |
월드푸드트래블마켓 설립자 에릭 울프는 "그 동안 식음료 관광 업계가 서로 연결하고 비즈니스를 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면서 이 온라인 장터는 식음료 관광 업계만을 대상으로 하므로 회원들로서는 본인의 사업 분야와 무관한 콘텐츠나 기업들을 신경 쓸 필요 없이 쉽고 빠르게 코로나19 이후의 미래 사업을 준비할 수 있게 되었다고 언급했다.
![]() |
▲ photo-pixabay |
보다 많은 서비스와 혜택을 누리며 본격적으로 계약 성사를 위한 욕심을 낸다면 기본, 프레미엄, 얼티미트 회원으로 가입을 해야 한다. 연간 199, 299, 399 유로의 회비를 내고 가입할 경우 각각 3, 10, 15개의 상품을 팔도록 차별화된 멤버쉽의 회비는 올해 말까지 가입하면 50%의 할인율이 적용된다. 자사 상품의 블로그, 검색 결과의 순서와 가짓수를 비롯해 카테고리 별 분류 숫자 등에도 차등이 있다.
음식 관광은 그 지역의 요리 문화에 대한 지역 사회의 인식과 자부심을 키워주는 동시에 그를 인정하는 양질의 방문객들에게 만족스러울 만한 서비스와 콘텐츠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단순히 유명한 식당에 들러 끼니를 때우는 것과 차이점이 있다.
![]() |
▲ photo-pixabay |
유럽에서 시작된 이 고급 '가스트로노미' 여행은 음식 문화에 대한 일종의 자부심 혹은 엘리트 의식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그러나 10여 년 전부터 불기 시작한 '컬리너리' 요리 관광이 이제 음식 여행이라는 개념으로 커진 것이라고 보면 이 시장을 놓고 기존의 음식 관련 업계도 새로운 판을 짜야 할 당위성이 있는 셈이기도 하다.
![]() |
▲ photo-pixabay |
이에 따라 이 온라인 장터에 가입한 모든 회원들은 자신들의 마이크로 사이트를 최대 100개 언어로 올려 놓을 수 있기 때문에 어느 나라에 있든 서로를 쉽게 찾아서 함께 비즈니스를 할 수 있다. 코로나19가 낳은 음식여행 업계의 새로운 변화이기도 하지만 SNS 및 각종 디지털 플랫폼들이 타 산업 분야에서는 이미 구축되었 것에 비하면 늦은 감도 없진 않다.
[저작권자ⓒ 쿡앤셰프(Cook&Chef).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