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ok&Chef = 이경엽 기자] 26일 오전 10시 국회에서 열린 이재명 대통령의 첫 시정연설은 단호하고 실용적이었다. 대통령 취임 22일 만에 이뤄진 이번 연설에서 이 대통령은 "경제는 타이밍"이라며 소비 회복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대규모 추경 편성 배경을 설명했다.
정부가 국회에 제출한 2025년도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 총액은 30조 5천억 원. 이 중 국민의 눈길을 끈 항목은 단연 전 국민 1인당 15만 원 소비쿠폰 지급과 총 8조 원 규모의 지역사랑상품권 확대였다. 이는 단순한 경기부양책을 넘어, ‘식탁 위 복지정책’이자 ‘지역 먹거리 산업 회복 전략’으로 볼 수 있다.
민생회복 위한 직접 지원… 소비쿠폰·지역상품권에 담긴 메시지
이 대통령은 이날 연설에서 “고물가·고금리·고환율의 3중고 속에 자영업자와 중산층의 소비 여력이 바닥났다”고 진단하며, 소비 진작 예산으로 11조 3천억 원을 투입해 전 국민에게 15만 원 상당의 소비쿠폰을 지급한다고 밝혔다. 취약계층과 인구 소멸 지역에는 최대 52만 원까지 차등 지원해 체감도를 높인다는 계획이다.
또한, 지역경제에 숨을 불어넣기 위해 6천억 원의 국비를 투입하고, 지역사랑상품권의 발행 규모를 8조 원까지 확대한다. 이는 지역 상권·소상공인·외식업체를 중심으로 실질 소비를 유도하는 조치이며, 로컬 푸드와 전통시장 등 지역 식문화 생태계에 직접적인 회복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설계는 “지방에 더 많은 국비를 배정한 것은 새 정부의 철학”이라는 대통령의 발언으로도 뒷받침된다.
외식·식품 생태계, 반등 계기 될까
전 국민 소비쿠폰과 지역상품권은 소비자 중심의 식문화 회복을 자극할 가능성이 크다. 실제로 이 쿠폰이 외식비, 식자재 구매 등으로 사용될 경우 침체된 외식업계와 소규모 자영업자들에게 실질적인 매출 회복 효과를 줄 수 있다.
다만 일시적 수요 집중에 따른 물가 불안, 또는 프랜차이즈 중심의 소비 편중에 대한 우려도 병존한다. 일부 업계 관계자들은 “기대도 크지만 쿠폰 사용처가 적절히 관리되지 않으면 지역 외식업계에는 별다른 도움이 안 될 수도 있다”는 반응이다.
한편, 지역사랑상품권 확대는 전통시장과 로컬 셰프 식당을 살리는 기회가 될 수 있다. 이 정책은 그간 수도권 대형유통 위주의 소비 구조에서 소외됐던 지역 농어촌 먹거리 플랫폼의 재정비 신호탄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의 이번 시정연설에서 발표한 보편적 소비쿠폰, 지역상품권, 채무 감면 및 고용안전망 확충 등 일련의 조치는 곧 ‘정책-소비자-식문화’ 간 연쇄 회복 구조를 복원하려는 시도이자, 먹거리 생태계의 구조적 문제 해결을 향한 신호로도 읽힌다.
[저작권자ⓒ 쿡앤셰프(Cook&Chef). 무단전재-재배포 금지]